본문 바로가기

TRIZ

TRIZ 입문1

본 과정에서 다루는 개념과 창의서 기법들은 TRIZ 를 주 방법론으로 삼았으며, 

그외 제약 이론(TOC), 가치공학(VE),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 파괴적 혁신(Disruptive Innovation)등의 이론등을 참고 하였으며, 

토란스 박사 등 창의력의 대가들의 메세지도 반영한 내용을 다룬다.

 

좋은 또는 새로운 아이디어는 어디서 오는가? 

창의적 아이디어의 예시

  • Endless Pools
    • 좁은 공간이지만 무한히 긴 Lane 에서 수영을 할 수 있는 효과 제공
  • 최소 공간 가구
    • 책장에 의자, 책상을 포개어 넣어 공간 활용을 극대화
  • 머리 보호 에어백
    • 자전거 운전자용 에어백
  • 투명 토스터
    • 식빵이 타는지 관찰 가능
  • stapleless stapler
    • 종이 자체로 고정

 

리바우트와 알트슐러 개인의 창의성 자가 검진 결과

태어날 때는 높은 수준의 창의성을 가지나 무언가로인해 창의성을 잃어버림

 

창의성에 관한 오해와 진실

오해

  1. 지식이 많아야 한다
  2. 두뇌가 뛰어나야 한다
  3. 타고나야 한다

진실

  1. 발상의 전환을 필요로하는 아이디어
  2. 지능/지식과 다른 영역
  3. 교육과 훈련으로 프로세스 학습이 가능
  4. 후천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

겔 슈타인의 오리토끼

 

다음의 그림이 어떻게 보일까?

1. 토끼

2. 오리

 

위 그림에 오리(토끼)가 있음을 알게 된 순간 다른 면인 토끼(오리)를 찾기 어렵게 되면서 사고의 관성이 사라지게 된다

 

즉, 우리가 창의성을 발휘하기 어려운 이유하나가 바로 이 사고의 관성으로 만들어지는 고정관념이다


이번엔 각각 물고기 그린다고 해보자

 

그린 물고기의 방향은 어디쪽인가?

대부분 80% 왼쪽일 것이다

 

어떻게 80% 사람들은 시키지도 않았는데 왼쪽으로 그리게 됐을까?

 

이 영향에는 기본적으로 우리 실생활과 밀접하다고 본다

 

횡단 보도에서 보행자 신호의 초록색에서 볼 수 있는 그림은 대부분 왼쪽이고,  비상구 표시등 또한 왼쪽으로 향한다

 

이런 식으로 기타 작은 이런 부분들이 의식하지 못하는 학습 및 경험을 하게 되어 사고의 관성이 생기지 않았을까 생각해 볼만하다

 

또 다른 사고의 관성 사례

 

위키백과

이 총은 미국 독립전쟁 중에 사용된 총으로 '머스킷 총' 이라고 부른다.

이 총은 

총구 앞쪽으로 화약과 총알을 넣는 방식으로 사용되어

화약/총알이 긴 총열을 따라 이동하다 보니 장전 시간이 오래 거렸다

 

 

RI Auctions

후에 '라이플 총'이 개발되었고,

이 총은

장전을 뒤로 하는 방식으로 개선되어, 장전 속도가 빨라

전투에서 살아남을 가능성이 증가했을 것으로 본다.

 

머스킷 총에서 라이플 총으로 장전 방식이 바뀌는데는 무려 2세기라는 시간이 흐른 뒤였다.

상대적으로 간단한 변화였다고 생각됨에도 불구하고 200 년이 넘게 걸렸다고 볼 수 있다.

 

그럼 2세기 동안 왜 변화없이 유지되었을까?

 

위와 같은 화승총들은 '대포를 모방'해서 만든 총이다.

 

그러니 대포처럼 앞쪽으로 장전되는 것을 그대로 답습하여 적용이 되었으며,

앞쪽으로 장전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스러운 일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니 창의성을 키우려면

 

고정관념을 갖고 있는지 항상 경계 해야되고,

당연하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여기서 내가 받은 퀴즈를 나눠주고자 한다

 

성냥개비 4개 田 를 만들어 보자.

(구부릴 수 없고, 부러뜨릴 수 없다)

 

정답은 해시태그에...


읽어버린 창의성 되찾기

좋은아이디어

  • 어딘가의 출처가 있는 것들 통해 구현
  •  실마리가 되어줄 단서들이 존재

창의성을 되찾기 위해

  • 창의성을 저해하는 고정관념 파악하기
  • 창의적 아이디어를 위한 체게적 방법론 학습하기

현재 고민하는 문제에 대하여 창의적 해결 유도

  • 과거(시간), 다른분야(공간)에서 가거나 유사한 형태로 해결되었을 가능성이 높음
  • 체계적인 방법론을 통해 비슷한 고민을 먼저 했던 사례 발견가능
  • ex) 포개지는 방식으로 사용시와 보관시의 이점을 챙긴 아이디어들
    • 낚시대, 사다리차, 마트 카트
  • ex) 일본의 다이아몬드 밀폐 용기와 압력 통한 세공
    • 20년도 전 유럽에서 피망 속씨를 제거하기 위해 밀폐 용기와 압력 통한 제거 
    • 시간적은 다르지만 유사한 방법이며, 일본에서 유럽의 방법을 알았다면 세공 방식 도입 시점을 당길 수 있엇음

유추사고방식

  • 현재 문제에서 보다 멀리 나아가 타 분야의 해결 방식을 응용해 푸는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 즉, 아이디어 벤치마킹을 통해 문제 해결

 

 

 

'TRIZ'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IZ 입문 3  (1) 2025.08.05
TRIZ 입문2  (3) 2025.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