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RIZ

TRIZ 입문 3

기능 기반 문제 찾기

[ 모순 찾기 ]

 

모순 찾기 사례

 

1970 소련에서 쏘아 올린 루나 16호 ( 달의 흙을 채취해서 귀환하는 임무 )

 

루나 16호 제작 당시 발생한 문제

  • 백열 전구가 깨지는 형상
  • 전구의 유리부분(bulb) 부분이 착륙시 충격으로 인해 깨짐

bulb 의 역할

  • 산소 차단으로 필라멘트 보호
  • 고온의 필라멘트는 산소를 만날 경우 수명을 다함

문제 해결

  • 달에는 산소가 없기 때문에 bulb 의 역할의 의미가 줄어듬
  • 고정관념 관성으로 인해 발생된 모순 사례

 

문제 해결위해 가져야할 기본 소양

  • 문제의 본질 먼저 파악하기
  • 문제 대상 기능과 목적 분석하고 정의

문제의 대상을 분석하면 체계적인 모순 찾기에 도움이 되고, 고정관념의 관성을 타파해 줄 좋은 매개체가 된다.

 


[ 올바른 기능 정의 ]

 

기능 == 목적과 수단

 

우리는 보통 기능(목적과 수단)을 혼동할 때가 많다 

 

 

창의적 해결 전 우리가 해야 할 일

  • 우리가 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 시장에서 고객이 원하는 게 무엇인지 파악하기

기능을 명확하게 파악해야 문제를 올바르게 파악할 수 있다.

 

 

"어떤 대상의 목적이 무엇인가 " 라는 질문에 가장 정확한 답변을 하려면

 

반드시 목적어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

 

인간이 만든 모든 시스템은 목적하는 바가 있으며, 그 목적이 바로 기능이다.

 

답변시 목적어를 활용하여 답을 한다면

 

[ 주어 ] + [ 동사 ] + [ 목적어 ]

 

3형식 문장의 형태로 답을 하는 것이 정확한 답을 설명(제시)할 수 있다.

 

 

< 목적 파악의 예시 >

 

망치의 기능(목적)은?

  • 못을 박는 것
  • 못을 뽑는 것

3형식 대답

  • 망치는 못을 박는다 (망치는 + 박는다 + 못을)
  • 망치는 못을 뽑는다 (망치는 + 뽑는다 + 못을)

선풍기의 기능(목적)은?

  • 선풍기는 공기를 이동시킨다
  • 선풍기는 바람을 만들어준다

칫솔의 기능(목적)은?

  • 치아를 닦는다 ( X )
  • 이물질을 제거한다 ( O )

칫솔과 같이 우리는 관용적 표현을 사용해서 해당 사물의 목적이 흐려지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문제나 사물의 본질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선 관용적 표현을 경계해야 한다.

 

칫솔이 치아와의 관계를 초점을 맞추는 것과

이물질과의 관계를 초점을 맞추는 것은 엄연히 다르다

 

즉, 이처럼 기능을 정의할 때 직접적인 대상을 잘 찾아야한다.

 


진공 청소기의 기능(목적)은?

  • 카페트를 청소한다( X )
  • 방 또는 바닥을 청소한다 ( X )
  • 먼지를 빨아들인다( O )
  • 먼지를 제거한다 ( O )
  • 먼지를 이동시킨다 ( O )

안전모의 기능(목적)은?

  • 머리를 보호한다 ( X )
  • 낙하물을 차단한다 ( O )

궁극적으로 안전모는 낙하하는 물체를 차단함으로써 부가적으로 머리를 보호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따라 오는 것이다.

 


시계의 기능(목적)은?

  • 시간을 잰다 ( X )
  • 시간을 측정한다 ( X )
  • 시간의 정보를 제공한다 ( O )

시계가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서 우리의 계산법에 따라 현재 시간과 그에 관련된 부가적인 계산을 하게 된다.

 


[ 기능 분석 ]

위처럼 조금 억지스러울 지라도 관용적 표현을 배제하고, 철저한 기능 표현하는 것은 기능을 분석하고 정리하는 과정이며,

이를 기능 분석이라고 한다.

 

기능 분석의 수행 순서

  • Component Analysis ( 문제의 구성요소 분석 )
  • Interaction Analysis (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 분석)
  • Function Modeling ( 요소들 수행 기능 모델링 )

 

 

기능 모델링 사례

헤어 드라이어

 

이 그림의 네모 박스 묶음 처럼 관계된 모든 것 화살표로 이용해서  주어, 동사, 목적어를 표햔한 방식을 기능 모델링이라고 한다.

 

 

 

기능 모델링의 4가지 유형

 

이런 방식으로 기능 모델링을 정의하다 보면 갈등 유형이 발견되곤 한다.

 

드라이기의 기능에서 발생하는 갈등 유형

 

머리를 말리려면 온도를 높여야하고, 머릿결을 지키려면 온도를 낮춰야 하는 모순을 발견할 수 있다.

 

이처험 유익한 기능 유해한 기능 공존하는 영역으로부터 모순을 도출할 수 있다.

 

 

 

'TRIZ'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IZ 입문2  (3) 2025.08.05
TRIZ 입문1  (6) 2025.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