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RIZ

TRIZ 입문2

모순의 개념과 유형

모순

한 상황 속에서 공존할 수 없는 상호 배타적 관계

ex) 모든 것을 막는 방패, 모든 것을 뚫는 창

 

모순이 있는 문제 해결하는 방법 세가지

  • 회피(해결했다고 보기는 어려움)
  • 타협
  • 창의성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曰:

"세상의 발전 법칙의 중심에 모순이 있다."

 

겐리히 알츠슐러 曰:

"기술은 모순을 갖고 있고, 모순을 극복함으로써 더 발전해 나간다"

 

모순을 극복한 사례 확인

자전거

초창기의 자전거는 페달이나 브레이크가 없었으며, 땅을 차면서 앞으로 나아가는 구조였다.

핸들이 없어 조향이 안돼 방향 전환시 멈춘 후 자전거 전체를 틀어서 다시 진행하는 식이었다.

 

이후 페달과 브레이그, 핸들이 있는 자전거로 발전하였으나,

페달이 앞바퀴 쪽에 위치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페달을 한 번 구르면 앞바퀴 하나 구르는 만큼 거리가 가는 것이니 이후 앞바퀴를 크게 만드는 아이디어로 승화된다

 

 

속도를 확보하였으나 무게 중심 잡기가 어려워져 안전성이 낮아졌다.

 

이 과정에서 모순이 발생한다

 

빨리 가려면 == 바퀴는 커야

안전하게 가려면 == 바퀴는 작아야 

 

이 모순을 해결하기위해 도입된 것이 자전거의 기어이다.

 

회전 기어의 회전비를 이용해 뒷바퀴가 2~3 배 회전하는 효과를 얻으므로써, 

 

작은 바퀴의 안전성과 큰 바퀴의 속도를 모두 적용시킨 하나의 예시일 수 있다.

 

이렇게 기술적으로 상호 배타적이 상환을 

 

기술적 모순(Technical Contradiction) 이라고 한다.

 

위의 자전거 같은 경우 속도가 빨라지면 안전성이 떨어지고 안전성을 높이다 보면 속도가 떨어지는 기술적 문제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는 바퀴의 크기만으로 다시 바라봤을 때, 앞바퀴가 커야 될 지 작아야 될 지에 대한 시선에선

 

물리적 모순(Physical Contradiction) 이라고 한다.

 

두 모순은 서로 역학관계이기 때문에 굳이 구분을 할 필요가 없다

 

 

모순을 그래프로 그린다면 이와 같다

 

한 축이 하나의 특성 (특성 A)

다른 축이 남은 하나의 특성이고 (특성 B) 

 

이 둘은 상호 배타적이기 때문에 반비례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특성 A 에 맞추면 특성 B 값이 낮아지고 (P1)

특성 B 에 맞추면 특성 A 값이 낮아진다 (P2) 

 

둘의 조화값인 (P optional) 를 기준으로 극대화 시켜 IFR 로 향하는 것이 모순을 해결하는 방향이다

 

이 그림에서 조금 더 쉽게 접근하자면 

 

A 를 올리면 B 가 내려가고,

B 를 올리면 A 가 내려가니

 

이 상황에서 둘 다를 올리려면 P 자체를 올려서 둘을 올리는 방법이 베스트가 되는 셈이다.

 

기술적 모순과 물리적 모순의 관계

 

이를 위의 자전거의 경우로 다시 대입한다면

이렇게 대입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폰으로 예를 들어 본다면

 

이를 해결해 준 결과물이 

접히는 스마트폰이다


모순의 극복과 창의적 문제해결

[ 모순 극복과 창의적 문제 해결의 관계 ]

 

위의 스마트폰 이전 시대의 휴대폰에서도 동일한 모순이 존재했었고

 

이를 해결한 방식 또한 접는 방식으로 해겼했으며,

 

이 방식이 세대가 지남에도 불구하고 똑같이 적용되어 해결책이 된 것을 알아 볼 수 있다.

 

 

그럼 이전 챕터( triz 입문1 )에서 언급 됐던 머스킷 총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보자

 

총구 앞쪽으로 장전을 하니 총열의 길이 때문에 장전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존재하게 됐다

 

두 모순 관계에 있는 것을 

 

장전을 뒤로 하는 것을 통해서 두 가지를 모두 가져갈 수 있는 해결책을 마련하게 되었다.

 

지금 예시를 말고도

매표소 줄을 설 때 한 줄로 서되 창구를 병렬 처리하는(기존의 한 줄 서기와, 여러줄 서기를 병합)

스위밍 머싱(수영장을 만들긴 어렵고, 수영을 하고 싶을 때),

골프연습장의 그물망을 세로로 설치(날아가는 공을 막고, 기존의 폭설 때 그물이 내려 앉는 것을 방지),

카메라 사이드 미러(공기 저항을 위해 작게 만들면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선 크게 보여야 할 때)

 

등등의 모순을 해결한 사례들이 있다.

 

모순을 극복하려면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필요하며,

모순 극복은 창의적 결과에 도달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고정 관념을 넘어 창의성에 닿기 위해 모순을 극복해야 한다.

모순을 극복하는 방법은 개인의 타고난 능력도 존재하지만 창의적 발상의 원리와 규칙성을 이해하는 방법도 존재한다.

 

더보기

"창의적 발상은 시공간을 넘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혁신은 타 분야의 지식을 활용할  때 일어난다.

우수한 발명은 모순을 극복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가 고민하는 문제의 95% 는 이미 풀려 있다."

 

- 겐리히 알츠슐러

'TRIZ'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IZ 입문 3  (1) 2025.08.05
TRIZ 입문1  (6) 2025.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