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 : 사용자 모드 - > 관리자 모드
show interface: 인터페이스 정보 확인
show user: 접속한 사용자 정보 확인
show ip route: 라우팅 테이블 정보 확인
show flash: 플래쉬 내용을 확인
show process: 프로세스 정보 확인
show hosts: 호스트 정보 확인
show version: 라우터의 소프트웨어 버전과 IOS 버전 등을 확인
conf t : 관리자 모드 - > 전역 모드
(config t || config terminal)
interface fastethernet 0/0: fastethernet 0/0 진입
ip access-group 1 in: pc 에서 router 1 로 들어가기
ip access-group 1 out: router 1에서 PC 로 나가기
interface serial 2/0: Serial 2/0 진입
interface serial 2/0: serial 2/0 진입
bandwidth 2048: 대역폭을 2048로 설정
interface serial 2/0: serial 2/0 진입
encapsulation frame-relay: 'frame-relay' 방식으로 캡슐화 설정
interface serial 2/0: serial 2/0 진입
encapsulation frame-relay: 'frame-relay' 방식으로 캡슐화 설정
frame-relay interface-dlci 17: 프레임릴레이를 dlci17 로 설정
interface serial 2/0: serial 2/0 진입
clock rate 72000: 클럭 속도를 72K 로 설정
interface serial 2/0: serial 2/0 진입
ip add 192.168.0.101 255.255.255.0: serial 2/0 의 첫 번째 ip 주소를 192.168.0.101/24 로 설정
ip add 192.168.0.102 255.255.255.0 secondary: serial 2/0 의 두 번째 ip 주소를 192.168.0.102/24 로 설정
ip route 24.48.200.0 255.255.255.0 100.150.100.2
: 정적 라우터 24.48.200.0/24 서브넷 설정 및 게이트웨이 100.150.100.2 설정
ip default-gateaty 192.168.0.10: '기본 게이트웨이' ip 주소를 192.168.0.10 로 설정
ip default-network 192.168.0.10: '기본 네트워트' ip 주소를 192.168.0.10 로 설정
ip dhcp pool icqa: DHCP 네트워크 이름을 'icqa' 로 설정 후 pool 진입
network 192.168.100.0 255.255.255.0: DHCP 네트워크의 서브넷을 192.168.100.0/24 설정
ip domain-name ICQA: 도메인 명을 ICQA 로 설정
line vty 0 4: TELNET(텔넷) 설정 및 진입 (가상 터미널 0 ~ 4 까지 총 5 개 사용하겠다는 의미)
password icqa: 텔넷 비밀번호를 'icqa' 로 설정
login: 텔넷에 로그인
line vty 0 4: 텔넷 접속
exec-timeout 03 50: 텔넷 연결 후 [ 03분 50초 ] 동안 입력이 없으면 세션 자동 종료 설정
line vty 0 4: 텔넷 접속
transport input ssh: 텔넷 접속을 SSH 로 변경하여 SSH 로 접속 가능하도록 입력설정
transport output ssh: 텔넷 접속을 SSH 로 변경하여 SSH 로 접속 가능하도록 출력설정
login: 비활성화 언급없으면 무조건 활성화(login)
line console 0: console 0 으로 진입
password ICQA: console 비밀번호를 'ICQA' 로 설정
hostname network2: 호스트 이름을 'network2' 로 변경
line console 0: 콘솔 0 진입
password route5: 콘솔 비밀번호를 'route5' 로 설정
login: 콘솔 로그인
snmp-server community ICQA ro: SNMP 통싱 시 community 이름을 'ICQA' 로 설정
ro | rw = read_only | read/write 설정으로 옵셩을 설정해줘야 snmp 가 정상 작동함
router rip: 소규모 네트워크에 rip 적용
version 2 : rip 버전 입력
network 10.10.10.10: 설정할 라우터에 연결(할당)된 ip 주소
nerwork 192.168.10.1: PC 의 게이트웨이 ip 주소
no auto-summary: 거리 벡터 방식만 적용되고, 자동 축약은 하지 않게 설정
RIP에서는 인터페이스가 속한 네트워크를 명시해야 하며,
인터페이스 주소가 아니라 "네트워크 주소" 를 등록해야 합니다.
192.168.10.0/24에서 1번째 주소 → 192.168.10.1
router ospf 1: 대규모 네트워크 osfp 적용 (process 번호 1 배당)
network: 10.10.10.20 0.0.0.255 area 1: 설정할 라우터에 연결된 ip 주소, WildCardMask 주소, 배당받은 area 번호
network: 192.168.11.1 0.0.0.255 area 1: 라우터에 연결된 PC 중 설정할 PC 의 IP 주소, ...
0.0.0.255(와일드카드 마스크 주소) = IP 주소 전체가 정확히 일치해야만 해당 인터페이스로 OSPF가 적용된다는 뜻.
" IP 주소가 10.10.10.x 범위인 인터페이스만 OSPF area 1 에 포함시켜라.”
( 0.0.0.0 = IP 주소가 정확히 10.10.10.20 인 인터페이스만 OSPF area 1 에 포함시켜라
처럼 개별 IP 지정해서도 가능하지만 OSPF 는 보편적으로 네트워크를 다루기 때문에 범위 설정을 해주는 것이 좋다)
no shutdown: 라우터 활성화시키기
exit : 현잭 구역(모드) 나가기
copy r s : 설정된 내용 저장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네트워크 > 네트워크 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관리사 2급 2024 05 19 기출문제 (0) | 2025.05.24 |
---|---|
NOS(Network Operating System) chpt4. DNS 서버 (0) | 2025.05.24 |
네트워크 관리사 2급 2024 08 25 기출문제 (0) | 2025.05.23 |
NOS(Network Operating System) chpt3. IIS 서버 (0) | 2025.05.22 |
NOS(Network Operating System) chpt2. 윈도우 서버 (0) | 2025.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