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네트워크 관리사

NOS(Network Operating System) chpt3. IIS 서버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 웹 서버 설치

[ 웹 서버 ]

 

웹서버

  • 웹 브라우저HTML 문서를 보여주는 프로그램
  • HTML 문서는 태그(tag) 형식으로 되어있어서 '<html> 임베스트 </html> 형태로 작성함
  • 웹 서버는 웹 브라우저와 이러한 HTML 형식 문서를 송/수신 하는 프로그램
  • 이때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이 HTTP 라는 프로토콜임

IIS

  • 윈도우 서버에서 IIS라는 웹서버를 설치
  • 웹 서버의 역할을 수행하는 MS사의 프로그램으로 ASP(Active Sever Page) 라는 스크립트를 지원
  • .NET Framework 기반으로 개발

IIS 설치 시 수행 가능한 서비스

  • WWW(웹 서비스)
  • FTP
  • NNTP
  • SMTP 등

(DNS 나 DHCP 는 네트워크 서비스로 별도의 설치가 필요한 기능적인 요소, Telenet 은 Windows 자체 기능으로 IIS 서비스와는 무관)

 

[ IIS 웹 서버 설치 ]

 

'IIS 웹 서버 설치'는 윈도우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버 관리자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설치 가능

 

서버 관리자 프로그램 - 관리 메뉴 - 역할 및 기능 추가 메뉴

 

역할 서비스 및 기능에 대한 안내문

다음 클릭

 

단일 서버를 기반으로 구축하는 경우 '역할 기반 또는 기능 기반 설치' 를 체크

역할 기반 또는 기능 기반 체크 - 다음 클릭

 

서버 풀은 해당 서버의 스토리지(Storage)에 IIS 를 선택하는 것을 의미

서버풀에서선택 체크 - 다음 클릭

 

서버 역할 리스트에 웹 서버(IIS) 를 선택하면 IIS 를 설치, 만약 Active Directory 및 DHCP 서버, DNS 서버 등도 설치를 원하면 모두 체크
리스트에서 웹서버(IIS) 체크 + (필요한 서버 체크) - 다음 클릭

 

ASP 를 지원하기 위해서 기능 리스트에서 ASP.NET 을 선택

ASP.NET 체크 - 다음 클릭 - 다음 클릭

 

웹 서버 역할(IIS) 의 역할 서비스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선택

웹 서버 역할 - 역할 서비스(필요 기능 체크) - 다음 클릭

FTP 서버 구축하기 원하면 FTP 서버 선택

 

나머지 항목들을 다 확인하고 나면 설치 가능

 

IIS 웹 서버가 설치되면 설치된 앱목록에 IIS '인터넷 정보 서버' 라는 것이 생성

 

설치 후 localhost(127.0.01) 로 웹 브라우저로 접속하면 IIS 홈페이지가 나옴

(홈페이지가 나오면 정상적으로 IIS 웹 서버가 설치된 것을 의미)


IIS 웹 서버 사용

[ IIS 기능 ]

 

웹 브라우저의 HTTP request 에 대해서 HTTP Response HTML 을 전송

HTTP 리디렉션 기능특정 주소로 바로 연결되게 함

HTTP 상태코드를 통해서 오류를 관리

HTTP 로깅 정보를 기록, 관리

ASP 및 .NET 언어를 지원

SSL 인증서를 등록해서 SSL 보안을 지원

 

IIS 웹 서버를 설치하면 'IIS 관리자 프로그램'으로 IIS 기능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음

IIS 기능 리스트는 ISS 웹 서버에서 지원하는 기능

  • HTTP 리디렉션
  • HTTP 응답헤더
  • ISAPI 및 CGI 지원
  • ISAPI 필터
  • MIME 형식 등

 

 

[ 웹 사이트 추가 ]

 

 

웹 사이트 추가 창 열림

 

사이트 이름

  • IIS 에서 현재 서버에서 제작된 사이트들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
  • 식별자는 중복값을 가질 수 없음

응용 프로그램 풀

  • 추가하는 사이트가 실행될 실행환경(프로세스 컨테이터)
  • 각각의 앱  풀은 고립된 프로세스(w3wp.exe)에서 동작

실제 경로

  • 추가하는 웹 사이트가 서비스할 웹 컨텐츠의 루트 디렉터리 경로(HTML, ASPX, 이미지, JS 등의 파일들이 여기 위치)
  • 홈 디렉터리는 로컬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의 디렉터리원격 시스템도 지정이 가능
  • 디렉터리 설정 화면에서 읽기/쓰기 액세스 권한 설정 가능
  • 홈 디렉토리 기본 위치는 'inetpup/wwwrrot' 

바인딩

  • 외부에서 어떤 조건으로 이 사이트에 접속할지를 정하는 핵심
  • 종류
    • http: 일반적인 웹사이트 접속
    • https: 보안 연결(SSL 인증서 필요)
    • 이 둘 중 목적에 따라 선택. 인증서가 없으면 일단 http로 시작
  • IP 주소
    • 이 웹사이트가 수신할 IP를 지정
    • 예: 192.168.100.10은 서버의 로컬 네트워크 IP
    • All Unassigned로 설정하면 모든 IP에서 포트만 일치하면 접속 허용
    • 특정 IP를 바인딩하면, 해당 IP + 포트로만 접근 가능
  • 포트
    • 80: 기본 HTTP 포트
    • 443: 기본 HTTPS 포트
    • 포트 충돌을 피하고, 사이트를 나누려면 다른 포트 사용 가능 (예: 8080, 8000 등)
  • 호스트 이름 (Host name)
    • 도메인 주소를 지정 (예: www.icqa.or.kr)
    • 같은 IP/포트일지라도 도메인 이름으로 구분할 수 있음 (→ 가상 호스팅)
    • A 레코드 또는 hosts 파일을 통해 이 도메인이 IP로 해석되어야 정상 작동

 

사이트 탭에서 사이트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등록된 사이트의 웹 사이트 주소, 포트번호, 프로토콜 등을 확인할 수도 있다.

등록한 사이트 우측 클릭 - 고급 설정

 

 

 

 

[ HTTP 리디렉션 ]

 

홈페이지의 주소로 접속할 때 자동으로 연결한 페이지를 등록한다.

즉, www.boanteam.com 을 웹 브라우저에서 입력하며 자동으로 www.boanteam.com/boan/boan.jsp 로 연결하게 한다. 

 

Default Web Site Home 에서 HTTP 리디렉션 클릭

 

상단 입력창에 리디렉션할 URL 을 입력

 

 

 

[ 오류 페이지 ]

 

웹페이지에서 발생하는 오류 정보를 노출하지 않고 전용 에러 페이지를 등록하는 것

즉, HTTP 상태코드 값에 따라서 에러가 발생하면 웹 브라우저에게 전송할 페이지를 등록한다.

 

 

 

[ 가상 디렉터리 ]

 

가상 디렉터리 실제 페이지 경로를 URL 에 보이지 않게 해서 보안을 향상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디렉터리에 웹페이지나 파일 등을 올려놓고 관리하는 것

(홈 디렉터리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어떤 디렉토리로부터 퍼블리싱하기 위해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