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캐시 메모리 [저장 장치 계층 구조 (memory hierarchy)]- CPU 와 가까운 저장 장치는 빠르고, 멀리 있는 장치는 느리다.- 속도가 빠른 저장 장치는 저장 용량이 작고, 가격이 비싸다 CPU 가 메모리에 접근하는 시간은 CPU의 연산 속도보다 느리다 저장장치의 계층 구조는 레지스터메모리USB 로 피라미드 형태로 표현하곤 한다. 레지스터는 메모리보다 용량은 적으나 접근 시간이 제일 빠르고, 가격이 비싸다메모리는 USB보다 용량은 적으나 접근 시간이 빠르고,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싸다 낮은 가격대의 대용향 저장 장치를 원한다면 느린 속도는 감수해야 되고, 빠른 속도의 저장 장치를 원한다면 적은 용량과 비싼 가격을 감수해야 된다. 이걸 그림으로 표현하면 다음와 같다 [캐시 메모리]- CPU 와 메모리 사이에.. 더보기 메모리 주소 공간 CPU 와 실행중인 프로그램은 메모리의 모든 내용을 알지 못한다 (몇 번지에 무엇이 저장되어 있는지 다 알 순 없다)이유인즉 메모리에 저장된 값들은 실시간으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새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새롭게 메모리에 적재되고, 실행이 끝난 프로그램은 메모리에서 삭제되며 같은 프로그램을 실행하더라도 실행시마다 적재되는 주소가 달라짐으로 매번 바뀌는 메모리의 상태를 모두 알 순 없다. 이렇게 매번 바뀌는 메모리의 상태를 매 순간 알지 못해도 주소를 활용할 수 있겠끔 하기위해주소를 물리 주소와 논리 주소라는 것으로 나누었다.(이 부분은 가상 메모리 시스템을 같이 알아보면 이해하기가 더 쉬워질 것으로 보인다) [물리 주소]- 메모리 입장에서 바라본 주소- 실제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하드웨어상의 주소 [논리.. 더보기 컴파일 [컴파일] - 소스 코드 .c 파일을 실행 파일로 변환시켜주는 작업 컴파일 과정에선 크게 4가지 변환기를 통해 실행 파일로 변환된다. 전처리기 -> 컴파일러 -> 어셈블러 -> 링커 전처리기(preprocessing) -> .c 파일을 .i 파일로 전처리해주는 변환기전처리(preprocess) - 본격적으로 컴파일하기 전에 처리할 작업들로 외부에 선언된 다양한 소스코드, 라이브러리(헤더 파일 등)를 포함시키고, 프로그래밍의 편의를 위해 작성된 매크로(define 으로 설정된 상수값 등) 변환과 컴파일할 영역(ifdef 류의 구문)을 명시해준다. 다음과 같은 구문으로 .i 파일을 생성시킬 수 있다.소스 코드 = test.c(gcc -E test.c -o test.i) 생성된 파일을 읽어보면 헤더 파일등의.. 더보기 File System 파일시스템이란? 우리가 자연스럽게 사용하고 있는 파일과 디렉토리를 관리하는 OS 의 내부 프로그램으로 파일과 디렉토리를 보조기억장치에 일목요연하게 저장(할당)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당연하게도 한 컴퓨터 내에서 여러 개의 파일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파일고 디렉토리는 데이터의 관점으로 보면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데이터 덩어리 그 자체이며, OS 에서 이 덩어리를 파일과 디렉토리로써 일목요연하게 관리를 해주는 것이다. [파일]-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의미있는 정보들을 모은 논리적 단위( 관련있는 정보들을 한 곳에 모아둔 단위로 이해하면 된다.)- 파일에는 파일을 실행하기 위한 정보, 파일을 구성하고 있는 정보, 부가 정보(속성 or meta data) 들이 존재한다.(흔히 window 에.. 더보기 Minilibx - man3 [mlx.3] NAME MiniLibX - Simple X-Window Interface Library for studentsSYNOPSYS #include void * mlx_init (); DESCRIPTION MiniLibX is an easy way to create graphical software, without any X-Window programming knowl‐ edge. It provides simple window creation, a drawing tool, image and basic events management. - MiniLibX는 X-Window 프로그래밍 지식 없이 그래픽 소프트웨어를 쉽게 만들 수 있.. 더보기 CSS - Cascading Style Sheets(2) [pseudo class selector(수도(가상) 클래스 선택자)] 클래스 선택자처럼 동작하지만 클래스 선택자는 아닌 여러가지 특수한 선택들을 하게 하는 선택자로element 의 상태에 따라 element 를 선택하는 선택자이다.(이 문장 자체로는 무슨 말인지 사실 잘 모르겠다.) 아래의 코드에 수도 선택자 기능으로 여러가지 변화 과정을 살펴보자. 방문함 방문함 결과 방문함 방문함"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방문함 방문함 결과 방문함 방문함"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방문함' 버튼을 클릭한채로 누르고 있으면 green으로 바뀌는 것을 확인한 수 있다.) 방문함 방문함 결.. 더보기 CSS - Cascading Style Sheets(1) [CSS]HTML 이 정보 전달에 중점을 맞추기 위하여 기존의 HTML 에서의 디자인 기능을 분리시켜 새로운 CSS 라는 언어로 재탄생한 것개별적으로 디자인 적용시켰던 HTML 에 비해 일괄 적용이 가능해져 더 효율적이다. CSS 적용 방식에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법이 있다. 구역에서 태그 내에 작성 style 속성을 통해 작성[selector(선택자)]CSS 를 태그 내에 작성하는 것을 selector 라고 부른다.selector 의 기본 문법은 제일 앞에 selector 로 지정할 html 파트를 입력 후 중괄호 { } 내분에 옵션과 값을 콜론 : 으로 구분하고, 하나의 옵션 지정이 끝나면 세미콜론 ; 으로 구분해준다. 적용시킬 파트{ 적용 속성 : 속성 값; 적용 속성 : 속성 값;} 그리.. 더보기 HTML - Hyper Text Markup Language(4) [hidden field] UI 는 없지만 태그는 존재해서, 서버에 보낼 추가적인 내용을 활용할 때 사용 태그의 type 옵션을 hidden 으로 설정 결과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hidden 이란 버튼이나 체크 박스가 없지만 전송 후 링크를 확인해보면 서버로 같이 전송된 것을 볼 수 있다.)[레이블 생성하기] 태그를 통해 레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은 특별한 기능이 있기보단 단순 이름의 정보를 명확하게 해주기 위해 사용.. 더보기 이전 1 ··· 6 7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