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자 인식 모델
- 이 목소리가 등록된 사람과 같은 사람인가? 를 묻는 1:1 비교 기반의 인증 시스템(feat.GPT4o)
1. 개념적 구분
화자 인식 VS 화자 검증
- 화자 인식
- 누구 인지 찾는것 (1:N)
- ex) 이 사람 누구야?
- 화자 검증
- 같은 사람인지 확인 하는 것
- ex) 이 목소리 XXX 맞아?
2. 전체 시스템 구조 (파이프라인)
입력 음성
전처리 (MFCC, Mel 등)
임베딩 추출 (x-vector 등)
벡터 비교 (cosine, PLDA)
Same or Not?
3. 핵심 구성 요소
- 입력 전처리
- 음성 파일을 Mel-Spectrogram, MFCC, FIlterbank 등의 특징으로 변환
- 모델이 받아들이기 쉬운 수치 데이터로 바꾸는 단계
- 특징 추출
- 딥러딩 모델 (TDNN, ECAPA-TDNN, ResNet, Next-TDNN) 이 사용됨
- 입력 음성을 고정 길이 벡터(보통 128 ~ 512 차원) 로 변환 -> x-vector
- 비교
- 두 개의 x-vector 사이의 유사도를 측정
- 일반적인 방법:
- Cosine Similarity
- Euclidean Distance (L2)
- PLDA (Probabilistic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 판별
- 유사도 점수를 기준으로 임계값을 넘으면 같은 사람
- 넘지 못하면 다른 사람
4. 주요 용어 정리
- Enrollment
- 등록
- 화자의 음성을 통해 x-vector 를 저장하는 과정
- Verification
- 검증
- 입력 음성을 등록된 x-vector 와 비교
- x-vector
- 화자의 고유한 특징을 표현하는 고정 길이 벡터
- Threshold
- "이 정도 이상이면 같은 사람" 이라고 판별하는 기준값
5. 예시 시나리오
- 음성 등록
- red_jh.wav (음성 파일 준비)
- Mel Spectrogram
- NeXt-TDNN
- red_jh_xvextor.pt (음성 데이터 벡터화)
- 검증 요청
- Threshold - 0.85 (같은 사람으로 판별)
6. 실제 사용처
- 핀테크
- 음성 기반 로그인 (은행 인증 등)
- 스마트 디바이스
- 음성 명령의 사용자 구분 (스마트 스피커)
- 보안
- 출입 인증, 통화 모니터링
- 법의학
- 녹취록의 화자 신원 확인
'AI > NeXt-TDNN'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Xt_TDNN - feature (4) | 2025.08.05 |
---|---|
ANN, DNN, RNN, TDNN (2) | 2025.07.21 |
NeXt_TDNN (0) | 2025.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