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와 정보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 유용한 데이터의 집합
ex)도서관의 경우 보유하고 있는 책들의 위치를 알고 싶을 때, 책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해서 쉽고 빠르게 찾는
테이터베이스 시스템(DBS: DB System)
- 정보 처리를 위한 시스템
- 보다 효과적으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
정보 처리: 컴퓨터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 자료를 처리하는 작업
자료 -> | 자료처리 시스템(가공/처리) -> | 정보 |
자료(data)
- 현실 세계에서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수집한 단순한 사실이나 값
정보(information)
- 의사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형태
- 자료를 가공(처리)해서 얻을 수 있는 결과를 의미
정보 시스템(Infomarion System)
- 조직체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 시에 처리해서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만들어 내고 분배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시스템
경영정보시스템(MI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 기업 업무를 기획(planning), 운영(operation) 그리고 통제(control)에 필요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사용
- 오늘날 대부분의 기업체가 보편적으로 사용
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 (DSS: Decsion Supprot System)
- 하나의 전문적인 목적보다는 여러 가지 복합적이고 광범위한 의사결정 목적을 위해 통합적인 기능을 수행
-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선 다양한 소스의 데이터들을 별도로 추출해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데이터 웨어하우스'가 필요
그 밖의 정보 시스템
- 군사 정보 시스템 (MIS: Military Information System)
- 행정 정보 시스템 (AIS: Administration Information System)
- 인사 정보 시스템 (PIS: Personnel Informaiton System)
- 지식 관리 시스템 (KMS: Knowledge Management System)
데이터 웨어하우스
- 조직이나 기업체의 중심이 되는 주요 엄무 시스템에서 추출되어 새로이 생성된 데이터베이스로서 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을 지원하는 주체적, 통합적, 시간적 데이터의 집합체
데이터 마이닝
- 데이터 웨어하우스 규모가 대형화되고 복잡하게 될 때 관련된 데이터를 찾아내고 필요한 정보 또는 지식을 생성하는 과정
자료 처리 시스템(Data Processing System)
- 정보 시스템이 사용할 자료를 처리하는 저오 시스템의 서브 시스템
일괄 처리 시스템(Batch Processing)
- 시스템의 효율성을 최대한 높이기 위하여 일정 시간(1주일, 1개월 등) 또는 일정량의 데이터를 모아서 한 번에 처리하는 시스템
- 시스템 입장에선 단위시간당 처리되는 양(트랜잭션)이 처리 비용이 적으며 주로 급여 계산, 회계 마감 업무, 세무 처리, 수도/전기 요금, 연말 정산 등의 데이터를 한꺼번에 모아서 처리하는 작업에서 주로 사용
온라인 처리 시스템(Online Processing)
- 자료 발생 즉시 처리하는, 즉 real-time으로 처리하는 시스템
- 항공권 예약, 영화 티켓 예약, 숙박 예약, 레이더 추적, 핵물리 실험, 전화 교환, 은행 업무 등 시간에 제한을 두고 처리되어야 하는 업무에 많이 사용
- 사용자 중심 처리 방식
- 낮은 시스템 성능, 높은 처리 비용이라는 단점이 있음
분산 처리 시스템
-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여러 대의 컴퓨터(프로세서)를 통신 회선으로 연결하여 논리적으로 하나의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처럼 운영하는 방식
[ 데이터 베이스 ]
- 조직체의 응용 시스템들이 공유해서 사용하는 운영 데이터들이 구조적으로 통합된 하나의 주제와 관련된 의미 있는 데이터들의 모음
-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는 사용되는 데이터 모델에 의해 결정
데이터 베이스 정의
- 통합된 데이터(integrated data)
- 산재 되어 있지 않고 한 곳에 있어야 함
- 모든 데이터가 중복을 최소화화면서 통합
- 저장 데이터(stored data)
- 컴퓨터에서 처리가 가능하도록 전자적 형태로 저장
- 디스크, 테이프 등 컴퓨터가 접근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 운영 데이터 또는 데이터에 대한 설명/데이터에의 데이터(meta data/데이터 베이스 스키마) 도 저장
- 운영 데이터(operational data)
- 고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반드시 유지되어야 할 데이터
- 공용 데이터(shared data)
- 한 조직의 여러 응용 시스템들이 공동으로 소유, 유지, 이용하는 데이터
데이터 베이스 특징
- 어느 한 조직의 응용 시스템들이 공유해서 사용하는 통합 저장된 운영 데이터
- 실시간 접근이 가능(real-time accessibilities)
- 수시적이고 비정형적인 질의(query)에 대하여 실시간 처리(real-time processing)
- 계속적인 변화(continuous evolution)
- 새로운 데이터의 삽입(insertion)이나 삭제(deletion), 갱신(update)으로 항상 변하고, 그 속에서 현재의 정확한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음
- 동시 공유 가능(concurrent sharing)
- 여러 사용자(multi-user)가 동시에 자기가 원하는 데이터에 접근
- 여러 응용프로그램들이 공동으로 소유하므로 유지할 수 있고, 연결할 수 있음
- 내용에 의한 참고 가능(content reference)
- 데이터의 레코드 위치(location)나 주소(address)가 아닌 사용자가 요구하는 데이터의 내용(contents), 즉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값에 따라 참조
- 모든 레코드들은 물리적 위치와 상관없이 하나의 논리적 단위로 취급되고 접근
- 파일 시스템의 단점과 호환성 문제를 극복으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